공부/Python

[Python 기초] 조건문 (If, if-else, if-elif-else)

tea_pixel 2024. 8. 22. 12:00
반응형

8. 조건문

 if 문

 

기본구조

if 조건문 이후 아래문장은 tap을 통해 들여 쓰기 해야 함.

결과물은 1개 이상일 수 있음.

# if문 기본 구조
# if 조건문 :
#	참일 경우 결과물

# 예제
if 95>65:
	print('95>65')
# 결과 : 95>65

 

참 거짓

 

1. 자료의 참 거짓

# 자료의 참 거짓

bool('Python')
# 결과 : True
# 데이터가 있으면 True을 나타냄

print(bool('Python'))   #문자열이 있으면 True
print(bool(''))         #문자열이 없으면 False
print(bool(' '))        #공백도 문자열 True
print(bool([1,2,3]))    #list가 있으면 True
print(bool([]))         #list가 없으면 False
print(bool(1))          # 1 = True
print(bool(0))          # 0 = False

# 결과 :
# True
# False
# True
# True
# False
# True
# False

 

 

2. 문자형의 참 거짓

# 문자형의 참 거짓

string = 'apple' 	# True
# String = '' 		# False
if string:
    print('조건이 참일 때 출력')
    
# 결과 : 조건이 참일 때 출력

 

3. 논리 연산 : and, or, not

and : 둘 다 True일 때 True
or : 둘 중 하나가 True 일 때 True
not : 논리 반전

string = 'apple' # True
# String = '' #False
if not string:
    print('조건이 참일 때 출력')

 

중첩된 if문

 

If 조건문 :
    If 조건문 :
        수행할 문장 A
        수행할 문장 B
    else:
        수행할 문장 a
        수행할 문장 b
else:
    If 조건문 :
        수행할 문장 1
        수행할 문장 2
    else:
        수행할 문장 ㄱ
        수행할 문장 ㄴ

 

# 중첩된 if문 예제

hungry = False
money = 1000

if hungry:
    if money < 5000:
        print('김밥을 먹는다')
    else:
        print('김치볶음밥을 먹는다')
else :
    if money > 3000:
        print('캔맥주를 산다')
    else:
        print('집에 가야지 뭐, 탄산수나 살까')

# 결과 : 집에 가야지 뭐, 탄산수나 살까
if-else

 

기본 구조

If 조건문 :
    수행할 문장 1
    수행할 문장 2
else:
    수행할 문장 A
    수행할 문장 B

# if-else 예제
# 성적이 9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불합격 입니다.'를 출력하라.

score = 60
if score >=90:
    print('합격입니다.')
else:
    print('불합격입니다.')

 

if-elif-else

 

If 조건문 :
    수행할 문장 1
    수행할 문장 2
elif:
    수행할 문장 A
    수행할 문장 B
else:
    수행할 문장 ㄱ
    수행할 문장 ㄴ

 

# if-elif-else 예제

money = 10000
if money < 5000:
    print('빵을 먹는다.')
elif money < 15000:
    print('돈까스를 먹는다.')
else:
    print('치킨을 먹는다')

# 결과 : 돈까스를 먹는다.

 

9. 조건문 활용

 

리스트 자료 구조

 

# 리스트 자료 구조

pocket = ['paper', 'cellphone', 'money']
if 'money' in pocket:
    print('택시를 타고 가라')
else:
    print('걸어가라')
    
# 결과 : 택시를 타고 가라


pocket = ['paper', 'cellphone']
if 'money' not in pocket:
    print('걸어가라')
else:
    print('택시를 타고 가라')

# 결과 : 걸어가라

 

딕셔너리 자료 구조
# 딕셔너리 자료 구조

pocket = {'paper' : 'trash', 'cellphone' : 'samsung', 'money' :20000}

if pocket['money'] < 10000 in pocket:
    print('걸어가라')
else:
    print('택시를 타고 가라')

# 결과 : 택시를 타고 가라

 

 포메팅

 

1. format() 활용

a = 75
if a<60:
    print('{}점이므로 불합격입니다.'.format(a))
else:
    print('{}점이므로 합격입니다.'.format(a))
    
# 결과 : 75점이므로 합격입니다.

 

2. f 활용

a = 48
b = 4
if a%b == 0:
    print(f'{a}는 {b}로 나누어 떨어집니다.')
elif a%b != 0:
    print(f'{a}는 {b}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습니다.')
    
# 결과 : 48은 4로 나누어 떨어집니다.

 

input() : 입력창 호출

 

입력창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음

이때 받게 되면 str 구조로 생성되므로, 숫자인 경우 int로 변환이 필요함.

input('점수를 입력하세요.')
# 결과 : '10' (10을 입력함)

type(input('점수를 입력하세요.'))
# 결과 : str

type(int(input('점수를 입력하세요.')))
# 결과 : int


# 예제
# 10점을 입력함
a = input('점수를 입력하세요.')
a = int(a)

if a<60 :
    print('{}점이므로 불합격입니다.'.format(a))
else :
    print('{}점이므로 합격입니다.'.format(a))

# 결과 : 10점이므로 불합격입니다.

 

Ref

 

렛유인 - 파이썬 데이터 분석 - 기초이론

렛유인 - 파이썬 데이터 분석 - 전처리&시각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