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반도체 공정

[공정 기초] 플라즈마 (Plasma) - 1 (정의, 플라즈마 내 충돌)

tea_pixel 2024. 7. 29. 12:00
반응형

Depo와 Etch을 다루기 전에 플라즈마에 대해 다룬 이후에 다루고자 합니다.

 

1. Plasma란? 

  ●  Plasma = 디파이 차폐를 만족하는 이온화된 기체

  ●  고체, 액체, 기체와 더불어 4번째 물질 상태

  ●  기체 상태의 분자나 원자가 이온화되어, 4가지 종류의 상태가 섞인 상태 ( 원자나 분자, 이온, 전자, 라디컬)

     ( 보통 0.001% 이하의 기체가 이온화되어 있음. HDP(High Density Plasma의 경우 ~1%)

  ●  전체적으론 중성이나, 국부적으로는 극성을 나타냄 (플라즈마 진동을 다루면서 다시 설명)

 

2. 플라즈마 내 충돌

플라스마 내 충돌은 전자의 에너지에 따라 탄성 충돌과 비탄성 충돌로 나뉨

 

1) 탄성 충돌

  ●  전자의 에너지가 작은 경우에 해당

  ●  에너지 손실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 충돌

  ●  과정

      가속된 전자가 기체 원자와 충돌하지만, 원자에 비해 전자가 느리고 가벼워서 기체 원자로 전달할 수 있는 에너지가 매우 작음

      → 전자는 기체 원자와 충돌 후 단순히 방향 전환만 일어남

 

2) 비탄성 충돌

  ●  전자가 충분한 속도(에너지)를 얻은 뒤, 기체 원자와 충돌하는 경우

       → 내부 에너지 변화가 나타나며, 다양한 반응이 일어남.

비탄성 충돌의 종류

 

  1) Ionization (이온화)

    ●  전자가 기체 원자와 충돌하여 기체 원자가 이온과 전자로 분리되는 과정

    ●   충돌로 인해 기체 원자에 이온화 에너지보다 높은 에너지가 가해져야 함.

Ionization 예시

     

       드물게 원자와 원자의 충돌로 나타나기도 함.

원자간 충돌로도 ionization이 발생

  2) Excitation (여기)

      원자가 충돌로 전달받은 에너지가 이온화에너지보단 작지만, 전자를 다른 궤도로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경우

Excitation

  3) Relaxation (안정화, 이완)

      Excitation된 원자의 전자는 안정한 궤도보다 높은 곳에 있기 때문에 에너지가 높고 매우 불안정

        → 안정화되면서 본래 궤도로 복귀

         이 때 E=hv 만큼의 에너지를 방출 (h : 플랑크 상수, v : 진동수)

Relaxation

 

  4) Dissociation (해리)

    ● 전자가 분자(AB)와 충돌하여 더 작은 단위의 분자로 만들거나 원자로 만드는 과정

     Radical 이 생성됨

        (Radical : 옥텟 규칙을 만족하지 못하고, 전자 2개가 채워져야 하는 오비탈에 전자가 1개만 있는 경우)

        +) 이온 : 양이온과 전자의 개수가 다른 상태

            (Cl은 양이온이 9개라, 전자를 1개 잃어도 radical이 아님, Cl-은 음이온)

     3가지 반응이 존재

      1. 광분리 과정

          외부에서 빛을 받아 분자가 원자로 분리 

       2. 역분리 (de-excitation)

           광분리 과정의 반대 반응

       3. 분리 이온화(Dissociative Ionization)

           분리 과정 중에 이온화가 같이 섞여 발생

 

  5) Electron Atteachment (전자 흡착)

      중성입자 혹은 분자에 전자가 충돌하면서 음이온 생성

  6) Dissociative Attachement (분리흡착)

      분리 과정이 진행 중에 전자흡착 과정이 발생

  7) Recombination (재결합)

       이온화와 반대반응

       1. 전자-이온 재결합 ( Electron-ion recombination)

           전자와 이온이 만나 결합하면서 중성원자가 되며 빛을 방출

              → 방사 재결합(Radiactive recombination) 또는 복사 재결합이라고도 함

       2. 이온 재결합 ( Ion-Ion recombination)

         

       3. 분리 재결합 ( Dissociative recombination) 

  8) Charge transfer (전자 이동)

    1. Symmetric Charge Transfer ( 대칭 전하 이동)

        원자와 이온 충돌 시, 서로의 전하만 교환하는 경우

    2. Asymmetric Charge Transfer ( 비대칭 전하 이동)

        서로 다른 원자들 사이에서 전하 이동

 

 

REF

 

도서

반도체 제조 기술의 이해 (곽노열, 한울출판사)

반도체 이론편 (렛유인)

반도체 이론편 (엔지닉)

박막과 스퍼터링 공정 (개날연)

 

유튜브 및 블로그

https://www.youtube.com/@DevicePhysics

marriott.tistory.com

728x90